본문 바로가기

포스트모더니즘

저출산 근본 원인과 대책 한국의 출산율 무엇이 문제일까 일반적으로 출산율 저하의 원인으로 꼽는 것이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 비율이 높아지면서 육아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아이 갖는 것을 꺼린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들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결혼하는 젊은이들의 주택 문제, 자녀들의 교육비 등 경제적인 문제가 출산율 저하를 가져왔다는 분석이 꼭 뒤따르게 마련이다. 그래서 그 해법도 천편일률적으로 정부는 보육 예산을 늘리거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그러나 놀라지 마시라.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런 정책이 단기적으로 효과를 보는 듯했지만, 사실상 이런 대책들이 출산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지난 정부에서도 5년간 수백 조의 예산을 투입해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각종 복지 .. 더보기
세상이 선택한 영화 '기생충'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롬 12:2) 봉준호가 블랙리스트 명단에 오른 영화 감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기생충을 보았을 때, 매우 의아하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 사회의 양극화를 고발하려면 부자를 나쁘게 그리고 가난한 자를 선하게 그려야 하는데, 기생충은 그 반대라는 점이다. 게다가, 이 영화는 디테일 면에서 현실을 반영한 듯 하면서도 전혀 사실적인 영화가 아니라는 점이다. 부자집의 지하에서 기생충처럼 생존한다는 설정 자체가 거의 판타지 수준이 아닌가. 그리고 후반부에 전개되는 파티 장면에서의 엽기적 살인은 도저히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직한 사건들이 아니다. 혹자는 이것을 블랙코메디라는 말로 포장하지만, 선악이 도치된 이런 류의 블랙코메디에 찬사를 보내는 심리는 도대체 어디서 기인한 것.. 더보기
선교, 메타 내러티브 풀어내기 우리는 "비가 올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면, 이 말은 여러가지 메타 내러티브를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소풍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면, 이 말은 부정적인 의미, 혹은 계획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 가뭄이 계속되고 있을 때의 상황이라면 기쁜 소식이 되는 것이고, 엘리야 시대에 이 의미는 비를 내리는 하나님이 참 신이심을 알리는 표지가 되는 등 여러 메타 내러티브를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성경에 제시된 세세한 이야기들은 궁극적으로 어떤 메타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을까? 성경의 이야기는 1500년에 걸쳐 40여명의 저자들이 각기 다른 시공간에서 작성한 것이지만, 그 내용들이 놀랍게도 통일성을 지니는 점은 성경이 성령의 영감에 의한 저작임을 증거하고 있다. 이러한 성경 내용의 통일성은 우리의 역사와.. 더보기